-
[서양철학읽기] 영국의 경험론자(2) : 버클리와 흄철학 2023. 7. 26. 16:34
18세기 영국의 사상가, 조지 버클리와 데이비드 흄, 두 사람은 모두 경험론에 관심을 가진 중요한 인물들입니다. 그러나 그들의 경험론에 대한 접근은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우선 이들의 생애에 대해 살펴본 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지 버클리(George Berkeley)는 1685년 3월 12일에 아일랜드의 킬케니 지역에서 태어났습니다.그의 생애는 주로 학문적인 경력과 종교적 활동으로 가득 찼습니다.
버클리는 먼저 킬다레 (Kilkenny)의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이후 1700년에 더블린의 트리니티 칼리지(Trinity College, Dublin)에 진학하여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습니다.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영향력 있는 신학자인 존 포퍼(John Puncher)의 영향을 받고, 버클리는 뉴 인그리디언 학파(New Ingrained School of British Empiricism)의 멤버로 자리잡았습니다.
1709년, 버클리는 그의 주요 작품 중 하나인 "인간 지성의 원리들에 대한 논문"(Treatise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Human Knowledge)을 발행했습니다. 이 작품은 이상주의(idealism)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또한 경험론과 인식론에 대한 철학적 주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는 모든 감각적 실체는 그것을 지각하는 마음속에만 존재할 수 있고, 감각을 초월한 외부에서 물체의 존재를 찾을 필요는 없다고 주장합니다.
1713년에 버클리는 뉴잉글랜드로 여행하였습니다. 뉴잉글랜드는 미국의 로드아일랜드와 머사추세츠에서 미션 활동을 펼치는 기회를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1724년, 버클리는 성직에 임수하여 이후 1734년에는 캐시얼 주교로 임명되었습니다.
재미있는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철학자 조지 버클리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은 '버클리 대학과 무슨 관계라도 있으려나?' 하는 생각을 할 수도 있겠죠. 결론부터 말하자면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위치한 버클리 대학교와 우리가 지금 이야기하는 조지 버클리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그렇지만, 조지 버클리 역시 대학교 설립을 위한 노력을 한 적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의 목적은 신학적인 교육과 인도주의를 위한 학교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그리하여 1734년 버클리 대학(Bishop Berkeley's College)을 버뮤다 제도에 설립하고자 했지만, 그 계획은 결국 실패하였습니다.
버클리는 이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철학 교수직을 맡으면서 학자로서의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그의 철학적 기여와 생각들은 그 후의 세대에도 영향을 미치고, 이상주의와 경험론에 대한 논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철학적인 토론의 중심 주제로 남아 있습니다. 그리고 1753년, 버클리는 옥스퍼드에서 사망하였습니다.데이비드 흄(David Hume)은 18세기 스코틀랜드의 철학자, 역사학자, 경제학자, 작가로서 뛰어난 학자였습니다. "경험주의(Empiricism)"와 "선입견비판(Critical Skepticism)" 등을 강조하며, 인간 이성과 사고의 한계를 지적하는 철학적 주장으로 널리 알려진 그의 생애는 꽤 흥미로운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데이비드 흄은 1711년 5월 7일에 스코틀랜드 에딘버러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에딘버러 대학교에서 철학과 법을 공부하였으나, 법을 좋아하지 않아 직업적인 법조인이 되지 않고 철학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논문 "인간 자연에 대하여": 1739년에 그의 첫 번째 주요 작품 "인간 자연에 대하여"를 발행하였습니다. 이 작품에서는 경험과 관습에 기반한 인간 이성의 한계와 인간 지성에 대한 철학적인 주장을 제시하였습니다. 1740년에는 논문 "인간 이해력 연구"를 발행하였습니다. 이 작품은 인간 이해력과 연상력의 구성과 작동에 대해 더 깊이 다루고 있습니다.
데이비드 흄(David Hume)는 경험론과 회의론을 강조하는 중요한 철학자 중 한 명입니다
경험론은 지식의 원천을 경험과 감각에 두는 철학적 입장을 의미합니다. 데이비드 흄은 인간 지식의 대부분은 감각적인 경험에 근거하며, 이로부터 유래되는 것으로 믿었습니다. 그는 철학적 사고의 시작점을 감각적인 경험에 두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인간이 인식하고 이해하는 것들을 탐구했습니다.
흄는 또한 "귀납법"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취했습니다. 귀납법은 특정한 사례나 경험을 일반적인 법칙으로 확장하는 추론 방법입니다. 하지만 흄은 인간의 경험이 제한적이고 한정적이며, 귀납법이 항상 신뢰할 만한 결과를 내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회의론은 의심과 의문을 갖는 것을 중요시하는 철학적 입장을 의미합니다. 흄은 인간 지성의 한계와 사고의 불확실성에 대해 강조했습니다. 흄은 믿음과 추론의 근거를 탐구하며, 인간이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는 지식의 한계를 인정했습니다.
그의 회의론적인 사고는 인간이 인과 관계를 확정적으로 알 수 없으며, 모든 인과적 결론은 결국 경험적인 사실에 의존한다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그는 인간의 믿음과 추론이 항상 의심과 불확실성의 대상이라고 보았습니다.
흄은 역사학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업적을 남겼습니다. 그의 역사학 저작에는 "영국사"와 "스튜어트 왕조 역사"가 있으며, 이는 많은 독자들에게 인정받았습니다.
그는 스코틀랜드에서 정부 관리자로서의 지위를 승진하며 사회적으로도 성공적인 삶을 살았습니다.
데이비드 흄은 1776년 8월 25일에 스코틀랜드 에딘버러에서 별세했습니다. 그의 죽음 이후에도 그의 철학은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며, 현대 철학에도 큰 영향을 끼쳐왔습니다.서두에서 말한 것과 같이, 같은 경험론자로 묶여 있으나 두 사람의 이론에는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버클리는 이상주의(idealism)라고도 불리는 경험주의적인 입장을 취했습니다. 그의 주장은 현실의 존재는 인간의 지각과 인식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것입니다. 즉, 물리적인 사물이나 개념은 인간의 지각이나 아이디어에 의해 존재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버클리는 사과가 존재한다고 할 때, 이 사과의 존재는 인간의 지각이나 경험에 의해 형성된 개념이라고 주장합니다. 사과가 인간의 지각에서 분리되면 그것은 더 이상 실재하지 않는다고 믿습니다. 이로서 버클리는 외부에 독립된 실재의 존재를 부정하고, 인과적 관계와 물질적 존재를 경험에서 파생된 일종의 아이디어로 설명했습니다.
한편 흄은 경험론을 통해 인간 이해력의 한계와 인식의 불확실성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취했습니다. 흄는 감각적인 경험이 모든 지식의 원천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러나 흄은 감각적 경험의 근거를 통해 우리가 신뢰할 만한 인과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는 주장에 회의적이었습니다.
흄는 인간 지성이 실제로 인과적 연결을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인과관계에 대한 일종의 습관 또는 습성을 형성한다고 믿었습니다. 예를 들어, 흄는 "폭발적인 불"을 관찰할 때, 실제로는 폭발과 불이 인과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볼 수 없고, 우리가 두 현상이 항상 연관되었다는 습성에 의존하여 이해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요약하면, 버클리는 경험주의적 입장으로 인해 실재의 존재를 인식의 결과물로 보았으며, 흄은 경험론을 통해 인과관계의 불확실성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취했습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두 철학자는 경험론의 관점에서 서로 다른 접근을 가지고 있습니다.'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철학읽기] 헤겔의 관념론, 쇼펜하우어의 관념론 (0) 2023.07.27 [서양철학읽기] 현대 정치철학의 기반을 세운 루소와 칸트 (0) 2023.07.26 [서양철학읽기] 영국의 경험론자(1) : 베이컨과 로크 (0) 2023.07.25 [서양철학읽기] 라이프니츠의 합리론과 파스칼의 도덕주의 (0) 2023.07.25 [서양철학읽기] 근대 철학자, 데카르트와 스피노자 (0) 2023.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