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동양철학읽기] 만사는 저절로 풀릴것이니(2) - 장자철학 2023. 8. 14. 09:22
노자와 장자의 사상은 중국의 도덕철학 및 철학 전체에 큰 영향을 끼치고, 현대에 이르러서도 그들의 아이디어는 여전히 많은 인간들에게 영감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선 글에서 노자(老子)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았는데요, 그의 사상을 계승한 장자(莊子)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자의 생애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도 매우 제한적입니다. 대략적으로 기원전 4세기 중반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되며(B.C.369?~B.C.289?), 출신지는 중국의 주저(주주)라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본명은 정우이며, 장자라는 호를 사용했습니다. 장자는 노자의 도덕 철학을 받아들이면서도 독자적인 관점과 개념을 발전시켰습니다. 노자는 도가 (道) 또는 "태초의 도"라고 불리는 원리에 근거한 철학을 전개했습니다..
-
[동양철학읽기] 만사는 저절로 풀릴 것이니(1) - 노자철학 2023. 8. 13. 12:05
노자(老子)와 장자(莊子)는 중국 고대 철학의 중요한 인물로, 둘 다 도(道)에 관한 철학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들의 접근과 사상은 다소 차이가 있긴 하지만 인위를 배제하고 그대로의 자연스러운 삶을 추구한 철학자라는 면모는 같죠. 그래서 두 사람의 사상을 통틀어 '노장사상'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번 글과 다음 글에 걸쳐 두 사람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노자의 출생 연도와 생애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은 매우 부족합니다. 대략적으로 기원전 6세기 중반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출신지는 중국 북부의 주저(주주)라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노자는 노자(老子)라는 호를 사용하였으며, 그의 본명과 정확한 생애 사항은 역사적으로 모호한 부분이 많습니다. 노자의 주요한 사상적 업적은 "도..
-
[동양철학읽기] 덕치주의의 계보, 맹자와 순자철학 2023. 8. 13. 08:52
맹자(孟子)와 순자(荀子)는 중국 고대 철학자로, 둘 다 중국의 덕(도덕, 미덕)과 윤리 철학을 개발하고 발전시킨 중요한 인물입니다. 그들은 공자의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는데, 각각 성선설과 성악설을 주장했습니다. 맹자는 '인', 순자는 '예'에 주목했었죠. 두 사람의 사상에 대해 각각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맹자는 기원전 372년(또는 371년)경에 중국의 충절(충주, 현 산둥 성)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본명은 맹이며, 맹자라는 호를 사용하였습니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배우며 유교적인 사상을 습득하였습니다. 그 후에는 여러 지역을 여행하면서 그의 사상을 확장하고 교육활동을 전개했습니다. 맹자는 유교의 중요한 가르침 중 하나인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선한 본성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주장을 강조하였습니다..
-
[동양철학읽기] 사랑과 예의를 중시하라, 공자철학 2023. 8. 12. 11:53
공자(孔子, Confucius)는 중국 고대의 사상가, 철학자, 교육자로서 불교와 도가 등 다양한 사상적 전통의 중심에 있는 인물입니다. 그는 기원전 551년에 중국의 소속지인 노위(魯魏)에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귀족 출신이었으나 조씨 왕조의 신하였죠. 일찍이 부모를 여의게 된 공자는 가난한 가정에서 힘든 소년기를 보내며 자랐습니다. 그래도 어린 시절부터 공부를 좋아했으며, 유년 시절에 이미 지혜롭고 사회적으로 강한 정신력을 보였습니다. 노나라의 하위 관리직에 올라 점차 높아지긴 했으나 크게 인정받지는 못하여 노나라를 떠나 여러 지역을 떠돌아다니게 됩니다. 공자는 유가의 시조로 알려져 있죠. 유교의 가르침은 인(仁)으로 집약됩니다. 본래는 혈육간의 사랑, 특히 부모와 형제에 대한 사랑을 강조하는 ..
-
[동양철학읽기] 삶의 모든 것은 괴로움이다, 붓다철학 2023. 8. 12. 06:27
불교의 창시자인 붓다(불타, 부처, Siddhartha Gautama)는 기원전 6세기 경(B.C. 563?) 인도의 근 현재의 루마니야 지방(현재의 네팔)의 왕실에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왕이었고 당연히 그는 왕자의 신분으로 귀족적인 환경에서 성장하였습니다. 그러나 어느 날, 29세의 나이에 왕궁을 떠나 외로움, 고통, 죽음의 실체를 탐구하기 위해 인생을 바꾸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는 수년 동안 금식과 명상을 통해 깨닫게 되었다고 전해지죠. 붓다의 가르침은 네 개의 귀중한 진리를 바탕으로 합니다. '제행무상, 제법무아, 열반적정'의 세 가지 진리(삼법인)에 '일체개고'를 더하여 사법인(四法印)이라 불리는 네 가지 진리는 인생의 고통과 그 해소에 대한 그의 관점을 나타냅니다. 일체개고(一切皆苦)는 모..
-
[서양철학읽기] 아우라를 잃어버린 시대, 벤야민철학 2023. 8. 10. 16:45
발터 벤야민(Walter Bendix Benjamin, 1892–1940)은 독일 출신의 문화 비평가, 철학자, 에세이스트로, 그의 생애와 업적은 현대성, 미술, 문학, 기술, 역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그의 아이디어와 글쓰기 스타일로 인해 귀중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발터 벤야민은 1892년 7월 15일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유대인 가정에서 자랐으며, 철학, 문학 및 문화에 대한 관심을 보였습니다. 베를린 대학교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공부하였고, 주로 문화 비평과 철학적 주제를 다루는 글을 썼습니다. 그의 작품은 주로 매체의 역할, 기술의 영향, 시대적 변화 등을 탐구하며, 동시대의 사회 및 문화 변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줍니다. 프랑크푸르트 학파인 발터 벤야민은 복제 기술 시대..
-
[서양철학읽기]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게임철학 2023. 8. 10. 09:50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1889년 4월 26일 - 1951년 4월 29일)은 오스트리아 출신의 철학자로, 분석철학의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그의 생애와 업적은 두 가지 주요 시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본인이 저술한 를 통해 고대부터 이어져 온 철학의 모든 문제를 해결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철학계를 잠시 떠난 적이 있기 때문이죠. 그러므로 첫번째 시기는 논리 철학 논고(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시기 (1918년 - 1929년)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 작업에서 그는 언어와 현실 간의 관계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이 작업은 언어의 한계와 논리의 구조에 대한 개념을 다루었으며, 언어 자체를 논리적으로 분석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철학과..
-
[서양철학읽기] 20세기 최고의 지성, 버트런드 아서 윌리엄 러셀철학 2023. 8. 9. 12:19
버트런드 아서 윌리엄 러셀(Bertrand Arthur William Russell)은 영국의 철학자, 수학자, 사회학자, 논리학자로서 20세기를 대표하는 철학적 사상가 중 한 명입니다. 윌리엄 러셀은 1872년 5월 18일 잉글랜드 런던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귀족 가문인 러셀 가문의 일원으로 태어났으며, 어릴 때부터 교육을 받는 환경에서 성장했습니다. 청소년 시기부터 평생에 걸쳐 철학적 탐구와 학문적 활동을 추구했으며 철학, 수학, 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캂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수학적 철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러셀은 수학, 논리학, 철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그 중에서도 그의 논리학적 업적은 두드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