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서양철학읽기] 포스트모더니즘(1) : 리오타르철학 2023. 8. 4. 08:49
장 프랑소아 리오타르 (Jean François Lyotard)는 1924년 8월 10일에 프랑스의 베르슈 (Versailles)에서 태어나, 1998년 4월 21일에 사망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사회이론가입니다. 그의 주요 작업은 현대성과 지식의 문제에 관한 것으로, 포스트모더니즘과 관련된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리오타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중요한 선구자 중 한 명으로 간주됩니다. 초기에는 마르크스주의와 현상학의 융합을 목표로 하였으나 프랑스 오월 혁명을 계기로 포스트모던 사상을 전개하게 됩니다. 1970년대 프랑스에서는 새로운 사상의 흐름이 등장하는데 푸코, 들뢰즈, 가타리, 데리다 등이 주요 인물입니다. 처음에는 포스트 구조주의 분야로 소개되었으나 현재는 포스트모던이라 불립니다. 리오타르가 쓴 ..
-
[서양철학읽기] 후기 구조주의 : 미셸 푸코철학 2023. 8. 3. 15:21
미셸 푸코(Michel Foucault)는 1926년 10월 15일에 프랑스 포아티에 (Poitiers)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사회이론가입니다. 어린 시절의 푸코는 문화적, 지적인 환경 속에서 성장했습니다. 그의 가족은 중산층에 속하며, 부모님은 의사와 교수로서 학문적인 관심을 가졌고 이러한 가정 환경은 푸코의 지적 호기심과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나아가 그의 철학적 관심과 업적의 발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푸코는 어린 시절부터 독서와 학문에 관심을 가지며 여러 주제에 대해 탐구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청소년 시절에는 문학, 철학, 역사 등에 대한 책을 읽으며 자기 교육을 추구했습니다. 이러한 지적 호기심과 열정은 그 후에 그의 철학적 연구와 작품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
-
[서양철학읽기] 구조주의(2) :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철학 2023. 8. 3. 09:29
프랑스의 문화인류학자인 클로드 레비-스트로스(Claude Lévi-Strauss)는 1908년 11월 28일에 벨기에의 브뤼셀에서 태어났으며, 2009년 10월 30일에 파리에서 사망했습니다. 그의 생애는 혁신적인 문화인류학적 이론과 접근법으로 두드러지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레비-스트로스는 소년 시절부터 학문적 호기심을 보이며 철학, 법학, 철학, 고고학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는 소설가 안드레 지드와 친분을 맺고 인도와 브라질 등으로 여행하며 민족학적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특히 원시 부족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하며 친족문화, 신화 등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당시 인류학자들에게 수수께끼같은 테마가 있었는데 바로 '근친상간의 금기' 입니다. 일부 문명사회에서는 사촌 간의 결혼도 근친..
-
[서양철학읽기] 구조주의(1) : 소쉬르(소시르)철학 2023. 8. 2. 12:58
페르딘앤드 소시르(Ferdinand de Saussure)는 1857년에 스위스 제네바에서 태어나 1913년에 별세한 스위스의 유명한 언어학자입니다. 그의 구조 언어학은 현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875년 소시르는 제네바 대학교에서 학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이듬해인 1876년에는 파리로 이동하여 쉘러스와 노이지 이상학을 공부하였습니다. 1879년에는 위스로 돌아와 제네바 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한 이후로 1880년대에 걸쳐 다양한 언어학적 연구를 수행하였고, 사회언어학, 구조주의 및 언어의 이질성 등의 개념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였습니다. 1907년 소시르는 "일반 언어학 수업"이라는 이름으로 주목받는 유명한 강의를 시작하였습니다. 이 강의는 그의 아이디어와 이론을 바탕으로 한 언어학의 기본 개념을..
-
[서양철학읽기] 프랑크푸르트학파(2) : 하버마스철학 2023. 8. 2. 08:44
하버마스(Jürgen Habermas)는 1929년 6월 18일에 독일 더스부르크(Düsseldorf)에서 태어났으며, 현재는 독일의 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한 요한 고트프리트 폰 헤르더 연구소(John F. Kennedy Institute for North American Studies)의 교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는 프랑크푸르트 학파를 계승했으나 아도르노를 포함한 1세대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스승들의 사상과는 조금 거리를 두었습니다. 아도르노를 비롯한 학자들은 사회 전체가 잘못된 상황에서 개인이 올바른 삶의 방식을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으나, 하버마스는 이에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먼저 하버마스의 배경을 알아볼까요? 그는 독일의 귀족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뮌헨과 그롯비트(Hamburg)에서 철학과 ..
-
[서양철학읽기] 프랑크푸르트학파(1) : 아도르노철학 2023. 8. 1. 12:32
프랑크푸르트학파는 전후 독일 사상계를 주도한 단체로 이들의 사상은 나치를 향한 비판에서 시작하여 현대 사회 자체에 대한 비판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유대계 지식인들이 다수 소속되어 있으며 비판적 이론과 근대 문명 비판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일반인들이 이해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학문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1958년, 독일에서 프랑크프루트 사회 연구소가 재건되는데 이때 아도르노(Theodor W. Adorno)가 연구소장으로 취임하게 됩니다. 그는 을 통해 나치와 그에게 협력한 하이데거의 철학을 비판한 바 있습니다. 아도르노(Theodor W. Adorno)는 1903년 9월 11일에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났으며, 1969년 8월 6일에 스위스 로카르노에서 사망한 독일의 철학자, 사..
-
[서양철학읽기] 열등감의 심리학, 알프레드 아들러철학 2023. 8. 1. 09:16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1870년 2월 7일 - 1937년 5월 28일)는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이자 심리학자로,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이라고 불리는 자신의 이론을 개발하여 현대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입니다. 아들러는 오스트리아 제5대 제설트 주 쨈(프레츠엘스주)의 마을인 라우(Reud)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 건강 문제로 인해 운동 능력이 제한되었던 아들러는 형제들과 비교적 덜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험이 이후 자아 발달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그의 이론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아들러 역시 융과 비슷하게 프로이트와 우호적 관계였으나 인간의 모든 행위가 성적 욕구에서 비롯되고 성적 욕구의 억압이라는 생물학적 사실로 ..
-
[서양철학읽기] 칼 융의 분석심리학철학 2023. 7. 31. 12:57
칼 융(Carl Gustav Jung, 1875년 7월 26일 - 1961년 6월 6일)은 스위스의 정신분석학자이며, 프로이트와 함께 현대 정신분석학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인간의 심리적 구조와 개인적, 문화적 인식에 대한 이론을 발전시킴으로써 심리학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융은 스위스의 크로이터(Turgi)에서 태어났으며, 소년 시절부터 엄청난 호기심과 학습욕구를 보였습니다. 이후 융은 바젤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정신과학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프로이트와의 만남 이후 정신분석학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프로이트의 제자가 되어 두 사람은 오랫동안 교류를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정신적 에너지를 모두 성욕 충동으로 환원시키는 스승의 입장을 부정하며 결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