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양철학읽기] 구조주의(1) : 소쉬르(소시르)철학 2023. 8. 2. 12:58
페르딘앤드 소시르(Ferdinand de Saussure)는 1857년에 스위스 제네바에서 태어나 1913년에 별세한 스위스의 유명한 언어학자입니다. 그의 구조 언어학은 현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875년 소시르는 제네바 대학교에서 학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이듬해인 1876년에는 파리로 이동하여 쉘러스와 노이지 이상학을 공부하였습니다. 1879년에는 위스로 돌아와 제네바 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한 이후로 1880년대에 걸쳐 다양한 언어학적 연구를 수행하였고, 사회언어학, 구조주의 및 언어의 이질성 등의 개념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였습니다.
1907년 소시르는 "일반 언어학 수업"이라는 이름으로 주목받는 유명한 강의를 시작하였습니다. 이 강의는 그의 아이디어와 이론을 바탕으로 한 언어학의 기본 개념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1911년에는 자신의 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일반 언어학 원리"를 발행하였습니다. 이 책은 그가 1913년에 세상을 떠난 후에 출간되었습니다.소시르의 언어학에 따르면 인간은 언어, 즉 랑그(Langue)라는 제도 안에서 사고하고 있습니다. 이는 각자의 국어 속에서 라는 뜻이죠. 한국인은 한국어라는 제도 속에서, 프랑스인은 프랑스어라는 제도 안에서, 말레이시아인은 말레이어라는 제도 속에서 사고하고 있습니다.
사고는 언어에 의해 제한되므로 사용하는 언어에 의해 다양한 제한이 발생합니다. 한국어는 '나비'와 '나방'이라는 단어가 각각 존재하므로 둘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프랑스어에서는 둘 다 파피용Papillon이라 말하므로 둘은 같은 개념으로 생각됩니다. 처음부터 분리된 것이 아니라, 언어로 구별되는 것입니다.
소시르 이전의 언어학에서는 먼저 대상이 존재했고 그에 대응하는 낱말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소시르는 이를 뒤집어 언어가 있기에 여러가지를 구별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무지개가 몇 색이냐는 질문에 우리나라 사람들은 당연하다는듯 일곱 색이라고 말하지만 미국인들은 여섯 색이라고 말합니다. 이누이트는 80개 이상의 낱말로 눈을 표현한다고 하죠. 언어에 의해 세계가 구분되고, 겉으로 드러나는 세계의 모양이 달라집니다. 먼저 언어가 있고 그 다음에 세계가 있는 것처럼요. 언어에 의한 구별 후 대상에 대한 분류와 인식이 발생하는 이런 구조를 '차이의 체계'라고 합니다.
소시르는 철학자가 아니지만 사상계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바로 그의 언어관 때문입니다. 소크라테스 이후의 철학들은 사실, 진리를 추구해 왔습니다. 그러나 사실이 먼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에 따라 세계를 구분하는 방법이 다르므로 어떤 언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사실이 다르다는 이론입니다.
소시르의 언어 구조주의 이론의 기반이 되는중요한 개념들로는 '언어의 이질성'과 '언어 단위 간의 관계'가 있습니다.
1.언어의 이질성: 소시르는 언어의 표현과 의미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언어를 이해하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당시까지의 언어학적 연구에서 큰 전환점이었습니다.
2.언어 단위 간의 관계: 소시르는 언어 구조를 이루는 다양한 언어 단위들 간의 관계를 강조했습니다. 예를 들면, 언어의 음운, 형태소, 단어, 구절 등이 서로 연관되어 언어를 이룬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이러한 개념들은 현대 언어학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구조주의는 언어학의 핵심 이론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또한, 소시르의 이론은 사회학, 문학, 인문학 등과 같은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철학읽기] 후기 구조주의 : 미셸 푸코 (0) 2023.08.03 [서양철학읽기] 구조주의(2) :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0) 2023.08.03 [서양철학읽기] 프랑크푸르트학파(2) : 하버마스 (0) 2023.08.02 [서양철학읽기] 프랑크푸르트학파(1) : 아도르노 (0) 2023.08.01 [서양철학읽기] 열등감의 심리학, 알프레드 아들러 (0) 2023.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