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학
-
[문헌정보학] 학교도서관 운영 장서관리의 의미와 기준문헌정보학 2023. 7. 9. 12:30
자료란 무엇인가, 자료의 의미와 범위 인간은 오랜 시간동안 다양한 매체에 기억을 기록하여 전달하였고, 그것이 축적되어 자료로 남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자료는 인류의 정신세계를 전승하고 의사소통과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세월이 흐르며 기술과 문명의 발달로 인해 기억의 저장 매체와 전달 방식 또한 변화하고 있는데, 이를 이해하고 해석하여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생산해내는 능력 또한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도서관법에서는 자료를 '인쇄자료, 필사자료, 시청각자료, 마이크로형태자료, 전자자료, 그밖에 장애인을 위한 특수자료 등 지식정보자원 전달을 목적으로 정보가 축적된 모든 자료(온라인자료를 포함한다)로서 도서관이 수집/정리/보존하는 자료를 말한다'라고 정의내리고 있습니다. 이것을 기록의..
-
[문헌정보학] 정보분류론 DDC 보조표의 종류와 내용(2)문헌정보학 2023. 7. 1. 21:53
DDC 제 23판 보조표의 T3~T6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T3 : 예술, 개별문학, 특수문학형식 세구분(Subdivisions for the Arts, for Individual Literatures, for Specific Literary Forms, 통칭 문학공통구분) Table 3는 3개의 하위 보조표로 구성됩니다. Table 3A for description, critical appraisal, biography, single or collected works of an individual author Table 3B for description, critical appraisal, biography, collected works of two or more authors; also for r..
-
[문헌정보학] 정보분류론 DDC 보조표의 종류와 내용(1)문헌정보학 2023. 7. 1. 21:21
DDC 제 23판의 보조표 구성 DDC 제 22판부터 보조표는 7개에서 6개로 바뀌었습니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Table 1 : Standard Subdivisions(표준세구분, 통칭 공통세목) Table 2 : Geographic Areas, Historical Periods, Biography(지역, 시대, 전기) Table 3 : Subdivisions for Arts, for Individual Literatures, for Specific Literary Forms (예술, 개별문학, 특수문학형식의 세구분, 통칭 문학공통구분) Table 3A : Subdivisions for Works by or about Individual Authors(개인저작을 위한 세구분) Table 3B:..
-
[문헌정보학] 정보분류론 DDC의 주요 특징문헌정보학 2023. 7. 1. 20:58
DDC(Dewey Decimal Classification : 듀이 십진분류법)의 역사와 발전 DDC의 창안자, 도서관학 선구자, 사서직의 대부이자 도서관학교 운동의 대부로 일컬어지는 멜빌 듀이(Melvil Dewey, 1851-1931)는 1851년 12월 10일 뉴욕주 북부 제퍼슨 카운티의 아담스 센터에서 탄생하였습니다. 1870년 Amherst College에 입학하여 2학년 때 도서관에서 학생 보조원으로 근무하였고, 졸업 후에는 모교 도서관의 사서와 부관장으로 재직하게 됩니다. 듀이는 20대의 젊은 나이부터 1876년 미국도서관협회(ALA = American Library Association)의 창설과 「Library Journal」 창간에 관여하였고, DDC 초판 발간(1876년), Colum..
-
[문헌정보학] 학교도서관 운영 사서교사의 직무와 역할 및 연수문헌정보학 2023. 7. 1. 20:15
사서교사의 직무 범위 -운영·관리 업무: 종합계획, 예산, 인적자원관리, 시설·설비 관리 -자료관리업무: 장서개발, 자료조직, 전산화 -교육·정보서비스 업무: 독서교육, 도서관활용수업, 도서관 이용·정보교육 참고·정보서비스, 지역사회 봉사 -디지털정보관리 업무: 디지털교수-학습자료개발, 디지털정보시스템 운영, 네트워크에 의한 도서관 상호협력 2018년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에 실린 4차산업혁명 시대 사서의 핵심 업무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사서의 55가지 업무 중 78%가 신기술의 영향을 받는다고 합니다. 또한 독서활동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설계, 운영, 평가와 정보리터러시를 포함한 문화평생교육 서비스 등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언급하고 있습니다. 사서교사의 직무 영역 및 역량 다음은 교육..
-
[문헌정보학] 학교도서관 운영 사서교사의 중요성과 자격문헌정보학 2023. 7. 1. 19:33
조직을 구성하는 자원? 모든 조직은 시설, 설비와 같은 유형 자원과 이미지, 기술과 같은 무형 자원 그리고 인적자원으로 이루어집니다. 인적자원은 조직의 구성원에게 내재화된 지식(Know-how), 의사결정능력, 정보력, 업무수행능력 등을 포함합니다. 조직을 구성하는 이러한 자원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인적자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원동력이며 장기적인 성공을 위한 가장 중요한 원천인 문화와 기술을 창출 및 관리하는 근본적인 주체이기 때문입니다. 사서교사는 어떤 존재인가? 사서교사 자격의 중요성 사서교사는 도서관과 정보의 효과적인 운영과 평생학습인 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교 공동체의 비전을 지원하고 수행하는 전문가입니다. 교육과정 운영과 교수법이 도서관의 정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