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문헌정보학] 정보분류론 DDC 보조표의 종류와 내용(1)
    문헌정보학 2023. 7. 1. 21:21

     

    DDC 제 23판의 보조표 구성

     DDC 제 22판부터 보조표는 7개에서 6개로 바뀌었습니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Table 1 : Standard Subdivisions(표준세구분, 통칭 공통세목)

    Table 2 : Geographic Areas, Historical Periods, Biography(지역, 시대, 전기)

    Table 3 : Subdivisions for Arts, for Individual Literatures, for Specific Literary Forms (예술, 개별문학, 특수문학형식의 세구분, 통칭 문학공통구분)

       Table 3A  : Subdivisions for Works by or about Individual Authors(개인저작을 위한 세구분)

       Table 3B: Subdivisions for Works by or about More than One Author (2인 이상의 저작을 위한 세구분)

       Table 3C : Notation to Be Added Where Instructed in Table 3B, 700.4, 791.4, 808-809(T3B, 700.4, 791.4, 808-809에 추가 지시된 기호)

    Table 4 : Subdivisions of Individual Languages and Language Families (개별언어 및 어족의 세구분, 통칭 언어공통구분)

    Table 5 : Ethnic and National Groups (민족·국가군)

    Table 6 : Languages (언어구분)

     

     

    T1 : 표준세구분(Standard subdivision, 공통세목)

     T1은 자료의 편집체제, 출판형식, 취급된 관점이나 방법이 동일할 경우에 부가하기 위한 보조표입니다. 본표에 ‘부가하라’는 지시가 없어도 모든 주제에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보조표이기도 합니다. 부가할 때는 반드시 ‘0’을 1개 이상 수반해야 하며 보조기호이기 때문에 단독 또는 주제기호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표준세구분의 1차 구분지는 다음과 같은데 이들은 다시 관점(-01, -02 일부, -07, -09), 서지∙물리적 형식(-02 일부, -03, -05, -06), 추가 전개를 위한 패싯기호(-04, -08, -09 일부)로 범주화할 수 있습니다.

    - 01 Philosophy and theory

    - 02 Miscellany(잡저, 편람이나 도표 등)

    - 03 Dictionaries, encyclopedias, concordances

    - 04 Special topics

    - 05 Serial publications

    - 06 Organizations and management

    - 07 Education, research, related topics

    - 08 Groups of people

    - 09 History, geographic treatment, biography

        - 092 Biography 

        - 0922 Collected biography

     

     T1의 적용상 유의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어떤 자료에 표준세구분 기호를 2개 부가해야 할 경우 관점기호를 우선 적용하고 물리적 형식기호를 배제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둘째, 다음 4가지 경우에 해당하면 본표에서 ‘T1을 부가하라’는 지시가 없는 한, T1의 하위기호를 추가해서는 안됩니다.

    ① 본표 분류기호에 이미 T1의 하위기호가 반영되어 있을 경우: 「English dictionary」 = 423(-3을 부가할 수 없음)

    ② 본표 분류기호의 의미가 T1 하위기호와 동일하여 중복될 때: 「미국역사」 = 973(주제기호 973 뒤에 -09를 부가할 수 없음)

    ③ 주제가 본표에서 독자적 분류기호를 갖지 못하거나 포함주 등 주기에 나타나는 경우: 「A history of remarriage」 = 306.84(포함주에 있기 때문에 -09를 부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

    ④ 자료의 주제가 본표에 마련된 분류기호보다 더 특정적일 때 : 「Dictionary of Black widow spiders」 = 595.44(Araneida)

     

     셋째, 다음 4가지 경우는 본표에서 ‘T1을 부가하지 말라’는 지시가 없는 한, 2차 보조기호를 부가할 수 있습니다.

    ① 세목의 특별 전개를 위한 T1 -04 다음 : 「한국 참여민주주의」 = 323.042095195 (323.042 + T1 -09 + T2 -5195)

    ② 본표에서 그 의미가 변경 또는 확장된 T1의 보조기호와 함께 사용할 경우: 「교 육심리학 사전」 = 370.1503(교육심리학 370.15 + T1 사전 -03)

    ③ T1의 -08과 -09 아래에 부가지시가 있는 경우: 「Journal of Feminist Christian theology」 = 230.08205(기독교 230 + T1 여성 -082 *Women의 내부표(*Add as instructed under-08) + T1 잡지 -05)

    ④ 지리적 취급과 관련하여 T1의 개념이 ‘0’을 포함하지 않는 기호로 대체된 경우 : 「영국 형무소 관리」 = 365.942068(365.9 + T2 -42(영국) + T1 -068(관리)

     

     

     T2 : 지리, 역사적 시대, 전기(Geographic Areas, Historical Periods, Biography)

      T2는 주제를 특정한 지역이나 시대, 전기 등으로 한정하여 취급할 때 적용하는 보조표입니다. T1과 마찬가지로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으며, 본표의 분류기호와 조합하여 사용합니다.

     DDC의 보조표 가운데 가장 방대한 것이 T2이며, 구분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01-05: 역사적인 시대구분

    - -1: 지형이나 기후, 사회 경제적 지역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 일반적 성격의 지역구 분에 사용

    - -2: 지역에 관계없이 전기적인 자료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하며, 실제적인 지역구 분은 -3-9에서 하고 있음

    - -3: 고대 세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 현대 국가의 지역구분은 -4-9로 표현됨

    -001-009 Standard subdivisions

    -01-05 Historical periods (역사적 시대)

    -1 Areas, regions, places in general; oceans and seas (일반지역)

    -2 Biography(전기)

    -3 Ancient world(고대 세계)

    -4 Europe

    -5 Asia

    -6 Africa

    -7 North America

    -8 south America

    -9 Australasia, Pacific Ocean islands, Atlantic Ocean islands, Arctic islands, Antarctica, extraterrestrial worlds

     

     T2의 세분기호를 주제기호에 부가하는 패턴은 2가지입니다.

     첫째, 부가지시나 전개근거가 있는 경우, 본표 또는 보조표의 분류항목 아래에 부가하도록 지시한 주기가 있거나 간접적 전개근거가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면 「잉글랜드 공공도서관」의 경우, 주제기호인 027.43-.49 아래를 보면 “Add to base number 027.4 notation 3-9 from Table 2”라는 첨가주 가 있음, 따라서 기본기호 027.4에 T2 잉글랜드(-42)를 부가하면 ‘027.442’ 가 됩니다.

     

     둘째, 부가지시나 전개근거가 없는 경우에는 더이상 세분∙전개하지 않는 것이 원칙

     다만 도서관 및 이용자 입장에서 지역구분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면 T1 ‘-09’를 수반∙전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의 ‘-09’ 는 일종의 패싯기호(facet indicator)입니다.

     예를 들어 「Garden crops in Korea」는 본표 ‘635’(Garden crops, 원예작물) 아래 에서 지역기호를 부가할 수 있는 첨가주나 간접적 전개근거가 없지만, T1 ‘-09’를 수반하여 분류하면 635 + 09(T1) + 5195(T2) = 635.095195가 됩니다. 물론 본표에 부가지시나 간접 전개근거가 있을 때는 ‘-09’를 수반하는 경우보다 우선 적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T2는 본표 및 보조표에서 직접적 지시(첨가주 등)가 있거나 간접 전개근거 가 있으면 부가하는데 문제가 없고, 부가지시가 없더라도 T1 ‘-09’ 아래 ‘-093-099’ 를 이용하면 지역기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명목상으로는 T1과 마찬가지로 모든 주제나 자료에 적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