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헌정보학] 정보분류론 DDC의 주요 특징문헌정보학 2023. 7. 1. 20:58
DDC(Dewey Decimal Classification : 듀이 십진분류법)의 역사와 발전
DDC의 창안자, 도서관학 선구자, 사서직의 대부이자 도서관학교 운동의 대부로 일컬어지는 멜빌 듀이(Melvil Dewey, 1851-1931)는 1851년 12월 10일 뉴욕주 북부 제퍼슨 카운티의 아담스 센터에서 탄생하였습니다. 1870년 Amherst College에 입학하여 2학년 때 도서관에서 학생 보조원으로 근무하였고, 졸업 후에는 모교 도서관의 사서와 부관장으로 재직하게 됩니다.
듀이는 20대의 젊은 나이부터 1876년 미국도서관협회(ALA = American Library Association)의 창설과 「Library Journal」 창간에 관여하였고, DDC 초판 발간(1876년), Columbia 대학 도서관장 재임(1883-1888년) 및 대학원 도서관학과(School of Library Economy) 창설(1887년), 뉴욕주립도서관장(1888-1906년)과 ALA 회장(1890-1893년) 역임 등 대단한 이력을 남기게 됩니다.
듀이는 1873년에 DDC를 구상하기 시작하였고 1876년 해리스 분류법에 기초하여 44페이지 분량(서문 8, 본표 12, 주제색인 18, 설명 2, 주제목록 1)의 DDC 초판(「A Classification and Subject Index for Cataloguing and Arranging the Books Pamphlets of a Library」)을 출판하게 됩니다. 초판의 주류는 000(일반), 100(철학), 200(신학), 300(사회학), 400(언어학), 500(자연과학), 600(실용예술), 700(순수미술), 800(문학), 900(역사)로 구성되었습니다. 이후 제2판(1885년)부터 제23판(2011년)에 이르기까지 약 7년 내외를 주기로 개정되었고, 1993년에는 DOS 버전인 「Electronic Dewey」가 CD-ROM으로 제작됩니다.
1989년에는 총 4권으로 늘어난 완전판 제20판, 1996년 7월에는 제21판과 함께 윈도우 버전인 「Dewey for Windows」가 출시되었고, 2003년 9월 제22판과 ‘WebDewy’, 2011년 5월 제23판 및 WebDewey 2.0 출시되었습니다. 2004년 1월에는 간략판(Abridged Edition) 제14판, 2012년에는 제15판이 발행되었는데 간략판은 장서가 2만권 이하인 도서관에 적합합니다. 간략판에 제공되는 보조표는 4개(T1, T2, T3, T4)로 더 적습니다.
DDC의 주요 특징
DDC 구조의 기본원리는 주제가 아닌 학문입니다. 주요 특징을 10가지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초류(basic class, 주류)가 학문분류(discipline classification)에 기반을 두고 분류표 전반에서 하향식 계층구조와 십진체계를 유지한다.
이러한 계층화 및 단순화의 특성으로 인하여 패싯분류법과 비교해 실무자의 부담이 줄어들고 신속한 접근과 이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2. 주제에 접근하는 관점 또는 특성(패싯)을 중시하는 관점분류(aspect classification)를 지향한다.
복수의 자료가 동일한 주제를 다루었어도 관점이 다르면 각각의 관점에 우선 분류하기 때문에 선택지가 많고 관점에 따른 군집이 가능합니다.
3. 본표 및 보조표의 해당 세목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는 요약(summaries)이 있다.
요약은 다른 분류법에는 존재하지 않는 강력한 접근수단으로, 유강목의 구성체계 및 배열 구조를 개관한 내부 목차에 해당하며, 3가지 유형이 존재합니다.
① 상위 3단계 요약(top three levels summaries): 본표 제2권 앞부분에 위치하며 000-999를 요약한 것, 주류(first Summary), 강목(second summary), 요목(third Summary)의 순으로 구성됨
② 2단계 요약(two-level summaries): 본표 제2-3권의 각 주류, 분량이 40페이지 이상인 강목과 T2의 주요 기호에 제공, 유강목, T2 시작 부분에 있음
③ 1단계 요약(single-level summaries): 분량이 4-40페이지인 각 분류항목 내 세 구분 내용을 알려줌
4. 구조적 및 기호적 측면에서 계층구조를 이룬다.
구조적 계층(structural hierarchy)은 주류의 상호관계를 제외한 각 주류 내 하위주제가 상위주제에 포섭되는 가운데 부분으로 존재하도록 계층화한 구조입니다. 반면 기호적 계층이란 기호의 장단을 이용하여 주제의 상하관계를 표현한 구조를 말합니다.
5. DDC에 내재된 태생적 한계, 즉 혼합 주제의 기호화가 어려움을 해결할 의도로 6개 분류규칙을 제공한다.
이들 분류규칙은 분류의 일관성, 오분류 방지, 비군집화 차단 등을 위한 수단이 됩니다.
① 선행규칙(first-of-two rule) :
-복수 주제를 다룬 자료에서 그들의 상대적 비중이나 경중을 판단하기 어려울 때 분류표상 선치된 주제를 선택하는 규칙
(예) 「화학과 물리의 입문」은 540(화학)이 아닌 530(물리학)에 분류
-그러나 양자가 계층구조상 상위주제 아래의 세목일 때 상위주제에 분류함
(예) 「천문학에 서 금성과 목성」은 목성(523.45)에 선행하는 금성(523.42)에 분류하지 않고 523.4(태양계 행 성)에 분류
-자국어가 포함되지 않은 2개국 언어사전에서 표목어가 2개일 때는 ‘자관 이용자에게 더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는 언어‘ 즉 분류표상 후치된 언어에 1차 분류하는 후행규칙을 적용함
(예) 영독사전(표목어 2개, 한국 입장) 433.21(후행규칙 적용)
② 삼자포괄규칙(rules of three) :
자료에 취급된 주제나 토픽이 3개 이상이지만, 모두 상위주제의 직접적 세목일 때는 선행 규칙을 적용하지 않고 이들을 포섭하는 상위주제에 분류
③ 제로규칙(rule of zero) :
어떤 자료를 분류한 결과, 복수의 분류기호가 모두 가능한 경우에 ‘0’을 수반하는 세구분 과 ‘1-9’로 시작하는 세구분 가운데 후자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규칙
④ 적용규칙(rule of application) :
자료가 2개 주제(대상, 요소)의 상관관계(영향, 인과, 추상과 구체)를 다룬 경우에는 영향을 받은 주제, 결과에 해당하는 주제, 구체적인 주제에 분류하는 규칙이다.
이는 선행규칙, 삼자포괄규칙, 제로규칙보다 우선하여 적용한다. 다만 개인의 사상과 업적이 다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는 자료는 개인을 중시하여 분류한다.
(예) '셰익스피어와 한국문학'은 895.7이 아닌 822.33 셰익스피어에 분류.
⑤ 우선순위(preference order) :
자료의 주제에 이질적 특성들이 존재하여 모두 기호화할 수 없는 때 각각의 특성을 고려 하여 분류기호를 조합하는 과정에서 우선 적용하도록 순위를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
⑥ 최후수단표(table of last resort) :
상술한 규칙을 적용할 여지가 없거나 판단하기 어려울 경우를 대비하여 최후수단표를 제공한다. 어떤 자료에 여러 분류기호를 부여할 수 있고, 그들이 각각 동등하게 유익하여 다른 규칙을 적용할 여지가 없을 때 적용하는 일종의 우선순위 규칙이다.
6. 분류기호의 다양한 조합패턴을 제공한다.
DDC 분류기호 조합패턴과 용례(6가지)
① 본표 모든 분류기호의 조합(001-999) (예) 예술도서관 : 026 + 700(예술) = 026.7
② 본표의 다른 강목(또는 세목) 일부기호 조합 (예) Buddhist calendar : 529.32 + 43 (294.3 Buddhism) = 529.3243
③ 본표의 동일한 강목 또는 세목 일부기호 추가 (예) 도서관 희귀서 수집 : 025.28(자료수 집) + 16(025.3416 Rarities) = 025.2816
④ 내부표(internal table) 조합 (예) 여성을 위한 고용서비스 : 362.83(*Women) + 84 (내부표 362-363 아래의 84Employment services) = 362.8384
⑤ 패싯기호(facet indicator) 조합 (예) Cell biology of sunflower : 571.62(571.6(cell biology) + 2 (plants 내부표571-572 아래 첨가주) + 3983(583.983 sunflower) = 571.623983
⑥ 보조표(T1-T6) 조합 (예) Dictionary of science : 500 + -03(T1 dictionary) = 503
7. 다양한 패싯을 조합할 때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합순서(citation order)를 제공한다.
여러 패싯을 기호한 후 합성할 때 어떤 순서로 조합할 것인지를 규정한 원칙으로 CC의 패싯공식에 상응됩니다. 일반적 조합순서는 ① 학문, ② 주제와 하위주제, ③ 지리 및 시대의 세구분, ④ 표현형식 의 순이며, 대다수 주제에 적용됩니다.
예외적으로 000(총류)은 ① 학문, ② 표현형식, ③ 언어나 장소의 순으로, 800(문학)은 ① 학문, ② 언어, ③ 문학형식, ④ 시대의 순서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8. 분류기호는 정합성을 가진다.
그동안 20회 이상 개정되었음에도 분류 실무자들이 주저하지 않고 수용할 수 있으며, 학문의 분화 및 지식구조 변화에 대응할 때에도 분류시스템의 기본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9. 지속적 개정으로 최신성을 확보한다.
OCLC Forest Press(발행자)의 자문기구인 십진분류편집정책위원회(Decimal Classification Editorial Policy Committee)와 편집기능을 전담하는 LC분류전문가로 구성된 십진분류과(Decimal Classification Divisions)가 최신성 유지에 충실하고 있습니다.
10. 최신판 발간 후에도 후속판 개정을 위한 새로운 분류기호의 부여 및 변경사항을 신속하게 홍보한다.
DDC의 개정은 1923년부터 미국의회도서관(LC)에서 담당하고, 출판권은 OCLC(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에서 보유하고 있습니다. 개정 내용은 Dewey blog에 공지하고, Web Dewey와 POD(Print-on-Demand)에는 개정 내용이 신속히 반영되고 있습니다.
윤희윤 저, <정보자료분류론> 발췌 및 인용
'문헌정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헌정보학] 학교도서관 운영 장서관리의 의미와 기준 (0) 2023.07.09 [문헌정보학] 정보분류론 DDC 보조표의 종류와 내용(2) (0) 2023.07.01 [문헌정보학] 정보분류론 DDC 보조표의 종류와 내용(1) (0) 2023.07.01 [문헌정보학] 학교도서관 운영 사서교사의 직무와 역할 및 연수 (0) 2023.07.01 [문헌정보학] 학교도서관 운영 사서교사의 중요성과 자격 (0) 2023.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