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서양철학읽기] 구조주의(2) :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철학 2023. 8. 3. 09:29

    프랑스의 문화인류학자인 클로드 레비-스트로스(Claude Lévi-Strauss)는 1908년 11월 28일에 벨기에의 브뤼셀에서 태어났으며, 2009년 10월 30일에 파리에서 사망했습니다. 그의 생애는 혁신적인 문화인류학적 이론과 접근법으로 두드러지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레비-스트로스는 소년 시절부터 학문적 호기심을 보이며 철학, 법학, 철학, 고고학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는 소설가 안드레 지드와 친분을 맺고 인도와 브라질 등으로 여행하며 민족학적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특히 원시 부족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하며 친족문화, 신화 등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당시 인류학자들에게 수수께끼같은 테마가 있었는데 바로 '근친상간의 금기' 입니다. 일부 문명사회에서는 사촌 간의 결혼도 근친혼으로 간주하며 법적으로 금지하나, 또 어떤 곳에서는 모두 허용하기도 합니다.그런데 특정 원시 부족사회는 평행사촌(부모와 성별이 같은 형제자매의 자녀, 즉 친사촌 및 이종사촌)과의 결혼은 금기하면서 교차사촌(부모와 성별이 다른 형제자매의 자녀, 즉 고종사촌과 외사촌)과의 결혼은 장려합니다. 그런 문화가 있는 부족 사람들을 인터뷰해 보아도 왜 그런지에 대해 그들 역시 잘 모르고 있었습니다. 그저 옛날부터 내려오는 관습이라는 것이죠. 

     

    레비-스트로스는 이 문제에 대해 언어의 본질에 보이지 않는 구조(차이의 체계, 관계성)가 존재하듯 일부 현상만 보고 미개하다 폄하한 원시 부족의 친족, 혼인, 신화 등의 이면에는 전체에 주목하지 않으면 이해할 수 없는 구조가 숨어있다고 말합니다. 평행사촌간에 결혼하면 부족 내 여성 인원의 교체가 없지만, 교차사촌간의 혼인이 이뤄지면 여성 인원이 원활하게 순환하므로 특정 부족만 번영하거나 쇠퇴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구조'가 숨겨져 있는 것입니다. 레비-스트로스는 이를 가리켜 '야생의 사고'라고 정의합니다. 미개한 관습으로 치부되었으나 사실 그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과학적 규칙을 체득해 왔던 것입니다.

     

    1949년에 레비-스트로스는 프랑스의 국립인류학 박물관(Musée de l'Homme)의 소장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그는 다양한 문화와 민족의 조사를 이어나갔습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야생의 사고"는 1962년에 발표되었으며, 이 책에서 그는 문화와 자연의 구별을 제시하며, 문화의 형성과정을 구조적으로 해석하였습니다. 구조주의적 접근을 통해 인간 문화와 사고의 본질을 탐구하였던 것입니다.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Structuralism)는 다음과 같은 핵심 개념들로 구성됩니다:
    1.구조와 규칙: 레비-스트로스는 문화 현상을 구조와 규칙의 네트워크로 이해했습니다. 이러한 구조와 규칙은 인간 사고와 행동의 기반이며, 문화 현상을 다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이항적 대립: 레비-스트로스는 문화 현상을 이항적 대립의 구조로 해석했습니다. 예를 들어, 자연과 문화, 생명과 죽음, 남성과 여성 등의 대립 개념이 문화 내에서 상호작용하며 의미를 형성한다고 보았습니다.

    3.구조적 유사성과 차이: 레비-스트로스는 다양한 문화 현상에서 구조적 유사성과 차이를 찾으려고 했습니다. 이러한 유사성과 차이를 통해 문화적 변이와 공통점을 이해하려는 노력이었습니다.

    4.구조적 변환: 그는 문화 현상이 구조 내에서 변환되는 과정을 강조했습니다. 구조적 변환은 문화의 다양성과 유사성을 이해하는 열쇠라고 레비-스트로스는 주장했습니다.

    5.미생물론적 접근: 레비-스트로스는 미생물론적 접근을 통해 사회 현상을 연구했습니다. 즉, 작은 단위의 현상들이 전체 구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그의 또 다른 중요한 작품은 "구조인류학의 사고"입니다. 이 책에서 그는 문화 현상을 구조적인 유사성과 차이로 이해하며, 문화 현상을 어떻게 분석하고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접근을 제시하였습니다.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는 문화인류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이론적 접근 방식 중 하나입니다. 그는 인간 문화의 공통성을 강조하면서도 그 안에 존재하는 다양성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문화 다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그의 아이디어와 이론은 구조주의적 사고방식을 통해 문화 현상을 이해하려는 데 큰 영향을 미치며, 그의 업적은 인류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되고 논의되어 온 바 있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