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서양철학읽기] 인생의 의미 찾기, 빅터 프랭클철학 2023. 8. 9. 08:57
빅터 에밀 프랭클(Viktor Emil Frankl)은 오스트리아의 신경학자, 정신과 의사, 철학자이며, 빈의 3대 심리치료학파로 꼽히는 로고테라피(Logotherapy)의 창시자로 유명한 인물입니다. 로고테라피는 자기 삶의 의미를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심리치료의 기법이죠. 빅터 프랭클은 1905년 3월 26일 오스트리아의 비엔나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의료 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정신 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와 함께 교육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그의 심리학적 관심을 자극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는 나치 정권에 의해 헌병대로 징집되었고,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강제 수용소에 수감됩니다. 그는 테레지엔슈타트, 아우슈비츠와 카우퍼링, 투르크맨..
-
[서양철학읽기] 정의란 무엇인가, 존 롤스철학 2023. 8. 8. 09:29
존 롤스(John Bordley Rawls)는 20세기 미국의 정치 철학자로, 주로 형식적 정의와 정의론에 관한 작업으로 유명합니다. 정치철학은 물론 경제학에도 큰 영향을 준 인물이죠. 벤담 이래 공리주의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사회 목표로 삼는 것이 정의라고 주장했으며 소수의 희생에 대해서는 외면했습니다. 그러나 롤스는 이러한 고전적 공리주의를 비판하며 사회적 격차 극복을 위한 리버럴리즘을 설파합니다. 개인의 기본적 자유를 보장하되 자본주의 안에서 빈부격차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주장이 핵심입니다.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A Theory of Justice)이라는 책으로, 이 책은 1971년에 출간되었으며 현대 정치철학의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꼽힙니다. 존 롤스는 1921년 2월 21일 미국..
-
[서양철학읽기] 세계화, '제국'이란 무엇인가 - 안토니오 네그리, 마이클 하트철학 2023. 8. 7. 11:55
은 2000년에 이탈리아의 정치철학자 안토니오 네그리(Antonio Negri)와 마이클 하트(Michael Hardt)가 공동 저술한 책입니다. 이 책은 현대 세계의 정치, 경제, 사회 구조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제시하고 있으며, 세계화, 제국주의, 권력의 구조 등에 대한 관점을 다루고 있습니다. '지금 세계는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가?'라는 의문에 대해 나름의 답을 내어 놓고 있다고 할 수 있겠네요. 네그리는 마르크스주의 사상가입니다. 그들의 공저서 은 좌파적 입장에서 세상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전통적으로 제국주의란 식민지 지배를 특징으로 하는 자본주의 발전 형태입니다만, 1980년대 사회주의의 붕괴 이후 제국화된 미국을 예로 들어본다면 완전히 다른 형태의 자본주의가 등장했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 책에..
-
[서양철학읽기] 기호로 세상을 읽다, 롤랑 바르트철학 2023. 8. 6. 12:43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는 1915년 11월 12일에 프랑스의 카마르게(Camargue) 지방에서 태어나, 1980년 3월 25일에 사망한 프랑스의 문화 비평가, 철학자, 작가입니다. 주력 분야는 문예였으나 신화, 모드(유행), 연극, 영화, 패션, 사진 등 문화 전반에 걸쳐 조예가 깊었습니다. 소쉬르의 구조언어학에 기반한 기호학으로 세계를 해독하였고 텍스트(일관되게 엮인 기호의 복합체), 에크리튀르(문자, 글말), 디스쿠르(담론) 등 현대사상의 기본 용어를 대중화한 인물입니다. 바르트는 문학과 언어에 관심을 가지고 자라며, 소년 시절부터 글쓰기에 빠져들었습니다. 파리의 소르본느 대학과 파리 제9대학에서 문학과 법학을 공부했습니다. 그 후 문학 연구에 뛰어들게 되었습니다. 그는 다양한 문..
-
[서양철학읽기] 독재자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 한나 아렌트철학 2023. 8. 6. 09:31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1906년 10월 14일 - 1975년 12월 4일)는 독일 출신의 철학자, 정치이론가, 역사학자로서 20세기의 중요한 사고자 중 한 명입니다. 그녀는 정치 철학, 인간의 자유, 권력과 국가, 국제 관계, 역사적 사고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나 아렌트는 독일의 헤센 주 한부르크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녀가 철학자 막스 하르더(Max Heidegger)의 제자로 유명한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학생이며 동시에 연인이기도 했다는 이야기는 유명하죠. 명석하고 특히 고전에 조예가 깊었던 아렌트는 18세이던 1924년 마르부르크대학교에 진학합니다. 그리고 당시 을 집필중이던 하이데거 밑에서 본격적으로 철학을 배우게 됩니다. 하지만 그..
-
[서양철학읽기] 구조주의(3), 마르크스주의의 부활 : 알튀세르철학 2023. 8. 5. 12:29
프랑스의 철학자 루이 알튀세르(Louis Althusser, 1918년 10월 16일 - 1990년 10월 22일)는 구조주의, 미적쓰기, 마르크스주의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였습니다. 특히 마르크스주의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낸 것으로 유명하죠. 그는 프랑스의 비숍로즈 출신으로 태어났으며, 철학적 지식을 쌓기 위해 파리 대학에 진학하였습니다. 마르크스주의에 관심을 가지고 프랑스 공산당에 가입하였으며,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이론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1991년 소련의 붕괴가 증명하듯 서구 사회에서 마르크스주의는 이미 힘을 잃어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알튀세르는 청년기(초기) 마르크스사상과 중장기(후기) 마르크스사상은 다른 특징을 지녔으며 후기 이론이 본편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마르크스사상은 ..
-
[서양철학읽기] 포스트모더니즘(3) : 데리다철학 2023. 8. 5. 07:11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년 7월 15일 - 2004년 10월 9일)는 프랑스의 철학자로, 현대 구조주의와 탈구조주의의 중요한 대표적인 인물 중 하나입니다. 데리다는 1930년 7월 15일에 프랑스 알제리의 엘 비아에서 태어났습니다. 파리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며 학문적인 경력을 쌓은 그는 알베르 캉의 영향을 받았으며, 후에는 마르틴 하이데거와 에마누엘 레빠스와 같은 다양한 철학적 입장들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데리다는 알제리 독립전쟁 때문에 알제리를 떠나 프랑스로 이주하게 되었으며, 그 경험이 그의 후기 작품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후 데리다는 파리 제7대학교(디도로 대학교)에서 철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교육과 연구를 이어나갔습니다. 데리다는 '탈구조주의', '탈구축' 이라는 철학..
-
[서양철학읽기] 포스트모더니즘(2) : 들뢰즈, 구아타리(가타리)철학 2023. 8. 4. 12:04
구조주의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기초로 하고 있습니다. 포스트모던 사상도 이 연장선상에 있긴 하지만 이번에 언급할 두 학자, 들뢰즈와 구아타리는 프로이트의 이론을 비판합니다. 그들은 공동으로 집필한 와 에서 독특한 포스트모던 사상을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 자연의 존재를 유기물-무기물, 식물-동물 등으로 분류하는 것과는 다르게 두 사람은 자연과 인간을 공동 선상에서 파악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프로이트의 무의식을 재해석하여 마음의 배후에 있는 존재가 아닌 세계 전체로 보았습니다. 세계를 기계장치로 보는 유물론이 아니라, 전 세계가 무의식의 세계라는 독특한 이론입니다. 그들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 각각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올 들뢰즈(Gilles Deleuze)는 1925년 1월 18일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