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양철학읽기] 기호로 세상을 읽다, 롤랑 바르트철학 2023. 8. 6. 12:43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는 1915년 11월 12일에 프랑스의 카마르게(Camargue) 지방에서 태어나, 1980년 3월 25일에 사망한 프랑스의 문화 비평가, 철학자, 작가입니다. 주력 분야는 문예였으나 신화, 모드(유행), 연극, 영화, 패션, 사진 등 문화 전반에 걸쳐 조예가 깊었습니다. 소쉬르의 구조언어학에 기반한 기호학으로 세계를 해독하였고 텍스트(일관되게 엮인 기호의 복합체), 에크리튀르(문자, 글말), 디스쿠르(담론) 등 현대사상의 기본 용어를 대중화한 인물입니다.
바르트는 문학과 언어에 관심을 가지고 자라며, 소년 시절부터 글쓰기에 빠져들었습니다. 파리의 소르본느 대학과 파리 제9대학에서 문학과 법학을 공부했습니다. 그 후 문학 연구에 뛰어들게 되었습니다.
그는 다양한 문화 및 언어 현상에 대한 심도 있는 비평을 제시하며, 20세기 프랑스의 문화 비평 및 철학적 장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잠깐 그의 저작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죽음의 서사학" (S/Z, 1970): 이 책은 바르트의 대표작 중 하나로, 프랑스 작가 안드레 지드(André Gide)의 작품 "쉐재라제"를 분석한 것입니다. 이 책에서 바르트는 텍스트 내에서 다양한 서사적 구조와 요소들을 해부하며 텍스트의 의미와 구조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합니다.
2."쓰기의 기술" (Le plaisir du texte, 1973): 이 책에서 바르트는 독자와 작가의 관계, 텍스트의 읽기와 쓰기에 대한 경험을 탐구합니다. 그는 문학 작품을 읽고 쓰는 행위의 복잡성을 이해하려는 시도를 하며, 작품의 미적 측면을 분석합니다.
3."서기 (Sade, Fourier, Loyola)" (1971): 이 책에서 바르트는 마르키스 드 사드, 찰스 푸리에, 이그나시오 루올라와 같은 역사적 인물을 다룹니다. 그는 이들의 사상과 업적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그들이 사회와 문화에 미친 영향을 탐구합니다.
4."로랑스의 철학" (Fragments d'un discours amoureux, 1977): 이 책은 사랑에 대한 바르트의 비평적 고찰을 담고 있습니다. 그는 사랑의 다양한 측면과 복잡성을 분석하며, 개인적 경험과 문화적 영향이 어떻게 교차하는지를 탐구합니다.하지만 롤랑 바르트의 저작 가운데 한 가지를 꼭 짚고 넘어가야 한다면 역시 1967년 발표된 에세이 "문학작품의 죽음"("La mort de l'auteur")이 아닐까 싶네요. 그는 이 작품에서 '저자의 죽음'이라는 사상을 제시합니다. 이 개념은 문학 작품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 방식과 작가의 역할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이론적 아이디어로 여겨집니다.
일반적으로 문학작품이 저자의 사상을 표현한다고 생각하며, 독자는 작품을 통해 저자의 사상을 읽는다고 여겨지지만 바르트는 이것이 구시대적 발상이라고 말합니다. 바르트는 저자의 죽음이란 개념을 내놓으며 작품이 작가의 의도와 생애에 국한되지 않고, 독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가 형성되며 발전한다는 관점을 강조합니다. 이는 작품을 생성한 작가의 개인적 경험이나 의도를 넘어서, 독자와의 만남을 통해 작품의 의미가 형성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작품은 작가의 의도나 생애에 국한되지 않고, 독자의 해석과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의미가 탄생합니다.
작가의 정체성이나 의도를 추구하는 대신, 작품은 다양한 읽기와 해석을 통해 다양한 의미를 수용하고 개방해야 합니다.
작품의 해석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작품의 의미는 정해진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읽기와 해석의 과정에서 형성됩니다."저자의 죽음"은 작품의 복잡한 의미와 해석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며, 현대 문학 비평과 문화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졌고 작가와 독자, 작품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롤랑 바르트는 텍스트와 문학에 대한 혁신적인 관점을 제시하며, 작품의 의미와 구조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였습니다. 그의 작품은 문학 비평, 문화 이론, 언어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계속해서 논의되고 영향력을 미치고 있습니다.히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며 영향력을 미치고 있습니다.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철학읽기] 정의란 무엇인가, 존 롤스 (0) 2023.08.08 [서양철학읽기] 세계화, '제국'이란 무엇인가 - 안토니오 네그리, 마이클 하트 (0) 2023.08.07 [서양철학읽기] 독재자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 한나 아렌트 (0) 2023.08.06 [서양철학읽기] 구조주의(3), 마르크스주의의 부활 : 알튀세르 (0) 2023.08.05 [서양철학읽기] 포스트모더니즘(3) : 데리다 (0) 2023.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