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양철학읽기] 사랑과 예의를 중시하라, 공자철학 2023. 8. 12. 11:53
공자(孔子, Confucius)는 중국 고대의 사상가, 철학자, 교육자로서 불교와 도가 등 다양한 사상적 전통의 중심에 있는 인물입니다.
그는 기원전 551년에 중국의 소속지인 노위(魯魏)에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귀족 출신이었으나 조씨 왕조의 신하였죠. 일찍이 부모를 여의게 된 공자는 가난한 가정에서 힘든 소년기를 보내며 자랐습니다. 그래도 어린 시절부터 공부를 좋아했으며, 유년 시절에 이미 지혜롭고 사회적으로 강한 정신력을 보였습니다.
노나라의 하위 관리직에 올라 점차 높아지긴 했으나 크게 인정받지는 못하여 노나라를 떠나 여러 지역을 떠돌아다니게 됩니다. 공자는 유가의 시조로 알려져 있죠. 유교의 가르침은 인(仁)으로 집약됩니다. 본래는 혈육간의 사랑, 특히 부모와 형제에 대한 사랑을 강조하는 덕목입니다. 인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사랑의 출발점입니다. 효도가 대표적인 '인'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그래서 중국에서는 효도가 백행의 근본이라 할 정도로 매우 중요한 덕목입니다. 공자의 인은 육친간의 사랑에 국한되지 않고 타인에 대한 사랑으로 확장됩니다.
이처럼 유가사상은 주로 윤리, 사회 질서, 가정 관계, 교육 등에 관해 풍부한 가르침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우리도 잘 알고 있는 '오륜'과 '인의예지신'이라는 핵심 개념으로 잘 정리됩니다.
<오륜>
1.부자유친, 부모-자식 관계: 공자는 부모에 대한 경의와 자식에 대한 헌신을 강조했습니다. 자식은 부모를 공경하고 보살핌으로써 가정의 안정과 조화를 유지해야 한다고 가르쳤습니다.
2.군신유의, 군주-신하 관계: 군주는 백성을 보살피고 보호해야 하며, 신하는 군주의 지시를 충실히 따르고 충성을 다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3.부부유별, 남편-아내 관계: 남편과 아내는 서로 존중하고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가정의 조화를 위해서는 상호간의 양보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4.장유유서, 윗사람-아랫사람 관계: 형제자매 사이에는 상호 존중과 사랑이 필요하며, 형은 동생을 보살피고 동생은 형을 경의하며 서로 협력하는 관계를 지켜야 한다고 가르쳤습니다.
5.붕우유신, 친구 관계: 친구 사이에서도 서로 존중하고 충성을 갖고 헌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었습니다.
<인의예지신>,유교의 다섯 가지 가르침
1.인(仁, Ren): 인은 '인간성' 또는 '자비'를 나타내며, 다른 사람을 대하면서 사랑과 배려를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사람을 대하면서 사랑과 배려를 표현하고,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나타내는 데 중요한 가치입니다. 인은 공동체의 조화와 평화를 위해 필요한 품성으로 간주됩니다.
2.의(義, Yi): 의는 '정의'나 '올바름'을 나타내며, 올바른 행동과 도덕적인 선택을 하여 사회적으로 바르고 올바르게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사람에 대한 공평함과 도덕적인 선택을 중요시합니다.
3.예(禮, Li): 예는 '예절'이나 '의례'를 의미하며, 사회적인 규칙과 예절을 따르는 것을 강조합니다. 사회 질서와 조화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가치입니다.
4.지(智, Zhi): 지는 '지혜'나 '지식'을 나타내며, 지적으로 성취하고 배움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올바른 판단과 지식을 통해 올바른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가치입니다.
5.신(信, Xin): 신은 '신뢰'나 '신용'을 의미하며, 다른 사람에게 믿음과 신뢰를 보이는 것을 강조합니다. 믿음을 바탕으로 협력과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가치입니다.<논어>는 공자의 가르침과 말씀을 수록한 문집입니다.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 나눈 대화를 기록한 것이죠. 여기에는 '부모와 형제에 대해 따뜻한 마음을 가진 사람은 윗사람을 거역하지 않는다. 윗사람을 거역하지 않는 사람은 집단의 질서를 어지럽히지 않는다'(학이편, 유자)와 같은 내용이 들어있습니다. 모든 것은 사랑(인, 仁)에서 시작된다는 주장과 맥락이 일치하죠.
공자는 사회적 규범과 예절 중심의 '성리학'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개인과 사회의 안정과 조화를 위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원칙을 강조하며, 예절과 도덕적 행동을 중시했습니다. 실제로 유교의 영향을 받은 동양권의 나라들 모두 고대로부터 예의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내면적이고 주관적인 가치라 할 수 있는 '인'을 외면적, 객관적으로 표현한 것이 '예'라고 할 수 있겠네요. 공자는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예는 사랑이 외부로 흘러나오면 자연스럽게 실현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양심을 거스르지 않고 자기를 다하는 '충(忠)'과 타인을 배려하고 자기를 미루는 '서(恕)'로도 발전할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러므로 형벌로 사람을 다스리면 사람들은 법망을 뚫고 부정을 저지르려 하지만, 그들의 마음에 덕(德)을 심으면 자연스럽게 선을 행하게 된다는 덕치주의를 주장했습니다.
공자는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부 관리자와 평민들을 대상으로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가르침을 전달하는 교육 체제를 구축했습니다. 그의 가르침은 후대에 중국의 교육 체계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그의 업적은 중국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사상은 유교의 기반을 형성하였습니다. 공자의 가르침은 중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역에서 영향을 미치고, 현재까지도 윤리와 도덕에 대한 가치를 강조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철학읽기] 만사는 저절로 풀릴 것이니(1) - 노자 (0) 2023.08.13 [동양철학읽기] 덕치주의의 계보, 맹자와 순자 (0) 2023.08.13 [동양철학읽기] 삶의 모든 것은 괴로움이다, 붓다 (0) 2023.08.12 [서양철학읽기] 아우라를 잃어버린 시대, 벤야민 (0) 2023.08.10 [서양철학읽기]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게임 (0) 2023.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