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동양철학읽기] 덕치주의의 계보, 맹자와 순자
    철학 2023. 8. 13. 08:52

    맹자(孟子)와 순자(荀子)는 중국 고대 철학자로, 둘 다 중국의 덕(도덕, 미덕)과 윤리 철학을 개발하고 발전시킨 중요한 인물입니다. 그들은 공자의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는데, 각각 성선설과 성악설을 주장했습니다. 맹자는 '인', 순자는 '예'에 주목했었죠. 두 사람의 사상에 대해 각각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맹자는 기원전 372년(또는 371년)경에 중국의 충절(충주, 현 산둥 성)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본명은 맹이며, 맹자라는 호를 사용하였습니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배우며 유교적인 사상을 습득하였습니다. 그 후에는 여러 지역을 여행하면서 그의 사상을 확장하고 교육활동을 전개했습니다.

     

    맹자는 유교의 중요한 가르침 중 하나인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선한 본성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주장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는 인간이 자연스럽게 가지고 있는 선한 본성을 통해 미덕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맹자는 그러한 선한 본성을 육성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노력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맹자는 또한 "부모의 명예를 확대하라"라는 말을 통해 가족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부모를 존경하고 경시하는 태도가 가족과 사회의 안정과 조화를 이루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봤습니다.

    또한 맹자는 정치적인 관점에서도 사람을 이끄는 지도자가 군림할 때에도 민중의 본성과 욕망을 고려하여 그들을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지도자가 국민을 배려하며 이해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맹자의 주장과 사상은 유교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저작인 "맹자"에는 그의 사상과 논증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의 업적은 중국의 유교 사상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그의 주장들은 유교적인 사회 윤리와 인간 관계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됩니다.

     

    한편 순자는 기원전 313년경에 중국의 무국(무주, 현 산둥 성)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본명은 순호이며, 순자라는 호를 사용하였습니다. 어려서부터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뛰어난 지성을 가졌으며 철학적인 탐구를 시작했습니다. 그 후에는 다양한 지역을 여행하며 학문을 연구하고 자신의 사상을 전파했습니다.

     

    순자는 맹자와는 다르게 인간의 본성에 비관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인간의 본성은 타락하기 쉽고 악한 욕망을 가진다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그는 교육과 규범을 통해 인간을 교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순자는 사회적인 질서와 관습, 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인간이 사회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행동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순자는 인간의 선량한 면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학습을 통해 인지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순자는 사상을 통해 인간의 본성에 깊이 뿌리를 두고, 그 본성을 교육과 규범으로 통제하며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사상은 중국의 유교 사상에서 인간 본성의 비판적 관점을 대표하는 요소로 평가되며, 그의 저작인 "순자"에는 그의 철학적인 주장과 논증이 담겨 있습니다.

     

    덕치주의에 대한 두 사람의 생각을 비교해서 정리해 볼까요?

    맹자는 선한 인간성을 가진 사람이 타인을 배려하고 덕을 실천함으로써 사회적 조화와 선량한 풍속을 창출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는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선한 본성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했으며, 이를 "인간의 선천적인 선(善)"이라고 부르며 강조했습니다. 맹자는 사람들이 이 선을 발전시키고 육성하는 과정에서 노력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맹자의 성선설은 '사단설(四端設)'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단(端)이란 단서, 실마리, 싹이라는 의미입니다. 선이라는 싹에 물과 양분을 듬뿍 주면 무럭무럭 자라나 덕이라는 열매를 맺는다는 것이죠. 맹자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갖고 있는 '사단'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타인의 불행을 간과할 수 없는 배려와 연민의 마음 '측은지심', 악을 미워하는 마음인 '수오지심', 겸손하며 남에게 양보하는 예의 '사양지심', 그리고 올바른 판단을 하는 마음인 '사비지심' 이렇게 네 가지를 일컫습니다.

     
    맹자는 인간관계와 윤리를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그는 "육체의 부모"와 "정신의 부모"라는 개념을 제시하여 부모를 존경하고, 타인을 배려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맹자의 덕치주의는 사회적 관계에서의 도덕적 행동을 중시하며, 인간의 선천적인 본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더 나은 세상을 구축하려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한편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며 타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그는 교육과 규범, 법률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인간을 교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순자는 사회적 질서와 윤리적 행동을 위해 제도와 규범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순자는 사람들이 사회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자기 이익을 위한 행동을 규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그는 지성적인 노력을 통해 덕을 개발하고 성장시키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는 맹자와 달리 인간이 타고난 본성보다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 미덕을 얻을 수 있다고 봤습니다.

    요약하면, 맹자와 순자는 덕치주의를 각자의 방식으로 해석하고 발전시켰습니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에 긍정적인 선을 강조하며, 순자는 인간의 본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과 규범을 중시했습니다. 이러한 철학은 중국 덕치주의 사상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하고 발전시킨 것으로 평가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