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양철학읽기] 어쩌면 자본주의를 가장 잘 이해한 인물, 칼 마르크스철학 2023. 7. 29. 11:01
1991년 소련의 붕괴 이후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이나 인기가 시들해진 듯 해도, 일부에서는 자본주의의 반성이라는 의미에서 재검토해야 할 사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역사에 시나리오가 있다고 믿는 사람은 없으나 마르크스 철학은 배울 점이 많고 헤겔과 마르크스의 변증법은 여전히 유용한 철학 사상입니다.
칼 마르크스(Karl Marx)는 19세기 독일의 철학자, 사회학자, 경제학자, 정치학자로서 현대 공산주의의 주요 이론가이며, "공산주의의 아버지"로 불리는 인물 중 하나입니다. 그는 1818년 5월 5일에 프로이센 왕국의 트리어(Trier)에서 태어났습니다. 청년 시절에는 보나파르티즘와 자유주의 운동에 참여하며 철학과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그는 보나파르티즘 정부의 탄압을 받고 프랑스로 망명한 뒤, 파리에서 언론 활동을 펼치고 유럽의 다양한 사회주의적 운동과 접촉하였습니다.
그가 남긴 대표적 이론들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할까요?
1.공산주의의 이론 개발: 마르크스는 공산주의의 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는 "자본론"이라는 주요 저작을 통해 자본주의 경제와 사회적 문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부의 불평등과 노동 계급의 착취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였습니다.
2.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마르크스는 민주주의와 사회주의가 공산주의의 전단계라고 믿었습니다. 그는 공산주의가 노동자 계급의 권력을 중심으로 더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를 구현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3.역사적 유물론: 마르크스는 역사적 유물론(Historical Materialism)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여, 경제 구조가 사회적 기본구조를 결정하며, 사회의 발전과 역사적 변화가 이러한 경제적 기반에 의해 결정된다고 봤습니다.
4.군사문제와 국제관계: 마르크스는 군사 문제와 국제관계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졌으며, 자본주의 국가들 간의 갈등과 대립에 대해 분석하면서 군비 증감과 민족 자결권의 문제를 논의했습니다.이중에서 가장 유명한 내용이라면 역시 역사적 유물론이겠죠. 카를 마르크스는 역사적 유물론(Historical Materialism)을 통해 인류 역사를 사회발달 단계로 분류하였습니다. 그의 사회발달 단계 이론은 사회가 물질적 기초인 생산수단의 소유와 생산관계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기초에서 사회적 기본구조와 상태가 형성된다고 믿었습니다. 이로 인해 사회는 연속적으로 발전하고 변화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마르크스의 사회발달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원시 공동체 (Primitive Communism): 원시인류의 초기 단계로, 개인적 소유와 계급 구조가 없는 공동체 사회를 의미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생산수단과 생산물이 공동으로 소유되고, 노동과 생산은 공동의 목적을 위해 이루어집니다.
2)노예 사회 (Slave Society): 노예 사회는 노예와 주인의 계급 구조로 이루어진 사회입니다. 노예들이 생산을 담당하고, 주인들이 노예 노동의 결과물을 활용합니다. 이러한 계급 구조에 의해 사회적 불평등이 형성됩니다.
3)봉건 사회 (Feudal Society): 봉건 사회는 귀족과 노비 또는 작농들로 이루어진 사회입니다. 귀족들이 농민들에 대해 경제적, 사회적 통제를 행사하며, 농민들은 땅과 노동을 귀족들에게 교환하며 살아갑니다.
4)자본주의 사회 (Capitalist Society): 자본주의 사회는 자본가와 노동자의 계급 구조로 이루어진 사회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땅과 자원 등의 생산수단이 개인적으로 소유되고, 이를 통해 자본가들이 노동자들의 노동력을 이용하여 이윤을 창출합니다.
5)공산주의 사회 (Communist Society): 마르크스는 사회발달의 최종 단계로 공산주의 사회를 제시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개인적 소유와 계급 구조가 없으며, 생산수단과 생산물이 공동으로 소유되어 모든 사람들이 자유롭게 생산에 참여하고 그 결과물을 공유하는 사회를 상상했습니다.
마르크스의 사회발달 단계 이론은 그의 주요 저작인 "자본론"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역사적으로 사회가 발전하고 변화해온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단계 구분은 간단히 나누어진 개념이기 때문에 실제 인류 역사는 훨씬 복잡하며, 실제 사회에서는 이론상의 순차적 진화가 항상 선현적으로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마르크스는 현대 공산주의의 이론과 사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의 작품과 이론은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회학자, 정치학자, 경제학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그의 영향은 전 세계적으로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비판적 관점에서 많은 사상과 사회 운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마르크스는 1883년 3월 14일에 런던에서 6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철학읽기] 후설과 하이데거, 현상학을 논하다 (0) 2023.07.30 [서양철학읽기] 실용주의에 앞장선 윌리엄 제임스와 존 듀이 (0) 2023.07.29 [서양철학읽기] 실존주의란 무엇인가(2) : 야스퍼스와 사르트르 (0) 2023.07.29 [서양철학읽기] 실존주의란 무엇인가(1) : 키에르케고르와 니체 (0) 2023.07.28 [서양철학읽기] 공리주의에 대하여, 제레미 벤담과 존 스튜어트 밀 (0) 2023.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