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양철학읽기] 에피쿠로스와 제논철학 2023. 7. 23. 21:34
에피쿠로스와 제논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각각 에피쿠로주의와 스토아학파라는 서로 다른 철학적 학파를 창시한 인물들입니다. 그들은 같은 시대에 활동하였지만, 그들의 철학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에피쿠로스는 4세기 B.C.의 고대 그리스 철학자로, 에피쿠로주의라고도 불리는 학파를 창시했습니다. 에피쿠로스의 철학은 쾌락과 평온을 추구하는 것을 핵심 가치로 삼았으며, 인간의 삶에서 고통과 공포를 최소화하고 쾌락을 최대화하여 평온하고 행복한 삶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그는 감각과 경험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것이 지식을 얻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라고 봤습니다.
제논은 3세기 B.C.의 고대 그리스 철학자로, 스토아학파를 창시한 인물입니다. 스토아학파는 선량한 인간적 품성과 도덕적인 삶을 추구하는 것을 핵심 가치로 삼았으며, 인내와 겸손, 논리적인 사고, 극복적인 정신, 그리고 선의를 중요하게 여기며, 이를 통해 쾌락보다는 영적인 평온과 행복을 이루려는 경향이 있었습니다.이들의 주요 특징과 업적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죽음을 두려워 말라, 에피쿠로스(Epicurus)
에피쿠로스의 쾌락주의를 사치와 향락을 탐닉하는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됩니다. 그가 말한 쾌락은 육신에 고통이 없고 마음이 평온한 상태, 즉 아타락시아(Ataraxia, 영혼의 평정)를 뜻합니다. 에피쿠로스는 수많은 저서를 썼지만, 그의 작품들은 대부분 소실되었고, 현대에는 일부 작품들만이 전해져 있습니다. 에피쿠로스의 주요 저서로는 '에피스티몰레'와 '페르이 세우스' 등이 있습니다.
에피쿠로스의 주요 특징과 업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쾌락과 평온을 추구하는 철학: 에피쿠로스는 인간의 삶에서 쾌락과 평온을 추구하는 것을 핵심 가치로 삼았습니다. 그는 우리가 직면하는 고통과 공포를 줄이고 쾌락을 즐기는 것이 인간의 최종적인 목표라고 봤습니다.
2) 친구와의 우정과 간단한 삶: 에피쿠로스는 친구와의 우정과 서로에 대한 사랑이 행복과 쾌락을 가져다주는 중요한 요소라고 봤습니다. 또한, 불필요한 욕망을 피하고 소박하고 간단한 삶을 살아야만 평온과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3) 에피쿠로스의 정원: 에피쿠로스는 철학을 가르치기 위해 '플레이아 데아', 즉 "즐거운 정원"을 운영했습니다. 이곳에서 학생들과 함께 이상적인 생활의 원칙과 평온을 탐구했습니다.
4) 감각과 논리를 통한 지식: 에피쿠로스는 감각과 경험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것이 지식을 얻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라고 봤습니다. 그는 이를 '천성주의(epistemology)'라고 부르며, 직관적인 인식과 경험을 기반으로 한 학문적 연구를 했습니다.2. 참을수록 마음이 단련된다, 제논(Zeno of Citium)
제논은 스토아학파의 핵심 가치로 선량한 인간적 품성과 도덕적인 삶을 추구하는 것을 제시하였으며, 인내와 겸손, 논리적인 사고, 극복적인 정신, 그리고 선의를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스토아학파는 인도주의, 피타고라스주의, 소크라테스주의, 그리고 기타 다양한 철학적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제논은 이러한 다양한 영향들을 통합하여 독자적이고 체계적인 철학적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스토아학파의 핵심 가치는 선량한 인간적 품성과 도덕적인 삶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스토이시즘은 인내와 겸손, 논리적인 사고, 극복적인 정신, 그리고 선의를 중요하게 여기며, 이를 통해 쾌락보다는 영적인 평온과 행복을 이루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스토아학파의 철학은 로마 시대를 중심으로 널리 퍼지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중요한 철학적 사상으로 인정받게 됩니다. 그러나 시대가 변함에 따라 스토아학파도 변화하였으며, 다양한 스토아주의자들이 철학을 개척하고 발전시켰습니다.스토아학파의 가르침은 다음과 같습니다.
1)철학적인 자유: 스토아학파는 인간의 내면에서 내재적인 자유를 강조합니다. 인간은 자기 선택과 의지에 따라 자유롭게 행동하고 생각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2)침착하고 평온한 생활: 스토아학파는 내적인 평온과 강하게 견디는 능력을 통해 어떠한 상황에도 불변적으로 침착하게 대처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인내와 겸손을 가지고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기 통제를 유지하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3)합리적인 삶: 스토아학파는 합리적인 사고를 강조하며,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이성적인 판단과 결정을 내리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4)의무와 선의: 스토아학파는 인간의 도덕적 의무와 선의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이해하고 선량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 인간의 최종 목표라고 봅니다.
5)자연과 일치: 스토아학파는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합니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서 자연의 원리를 따라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다고 믿습니다.에피쿠로스와 제논은 각각 에피쿠로주의와 스토아학파를 창시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철학은 서로 다른 방향을 나타냈습니다. 하지만 둘 다 그들 시대에 인기를 끌었고, 그들의 철학은 서양 철학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에피쿠로주의와 스토아학파는 로마 시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전되며, 현대에도 그들의 철학적 사상은 여전히 연구되고 이해되고 있습니다.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철학읽기] 근대 철학자, 데카르트와 스피노자 (0) 2023.07.24 [서양철학읽기] 르네상스, 피코 델라 미란돌라와 마키아밸리 (0) 2023.07.24 [서양철학읽기] 중세 철학 개괄,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 (0) 2023.07.24 [서양철학읽기] 소크라테스, 플라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 (0) 2023.07.23 [서양철학읽기] 철학이란 무엇일까? 서양철학의 기원, 시작 (0) 2023.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