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양철학읽기] 20세기 최고의 지성, 버트런드 아서 윌리엄 러셀철학 2023. 8. 9. 12:19
버트런드 아서 윌리엄 러셀(Bertrand Arthur William Russell)은 영국의 철학자, 수학자, 사회학자, 논리학자로서 20세기를 대표하는 철학적 사상가 중 한 명입니다.
윌리엄 러셀은 1872년 5월 18일 잉글랜드 런던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귀족 가문인 러셀 가문의 일원으로 태어났으며, 어릴 때부터 교육을 받는 환경에서 성장했습니다. 청소년 시기부터 평생에 걸쳐 철학적 탐구와 학문적 활동을 추구했으며 철학, 수학, 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캂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수학적 철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러셀은 수학, 논리학, 철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그 중에서도 그의 논리학적 업적은 두드러지며, '러셀의 패러독스'와 '타이틀리스 패러독스' 등이 그에 속합니다.
논리는 사고의 공식과 같습니다. 삼단논법을 체계화 한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논리학은 철학의 한 분야로서 수 세기에 걸쳐 진보해 왔습니다. 그리고 20세기 최고의 지성이라 칭해지는 영국의 수학자이자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에 이르러 새로운 논리학이 탄생하게 됩니다! 그는 수리철학과 기호 논리학으로 분석철학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러셀은 스승인 화이트헤드와 함께 <수학 원리>를 집필하여 기호논리학을 집대성합니다. 원자로 연결하듯이 개별 명제를 조합해 문장을 기호화하는 논리적 원자론을 기호 논리학이라고도 하는데요, 이는 명제 논리학과 술어 논리학으로 분류됩니다. 명제 논리학은 명제의 긍정, 부정, 접속기호에 주목해 언어를 기호화합니다. A라는 명제를 B라는 명제와 연결할 때 화살표를 사용해 '그렇다면'이란 의미를 부여한다고 하면 A->B에서 A, B의 의미나 내용은 차치하고 기호관계(->)의 참이나 거짓만을 판별하는 방식입니다. 술어 논리학은 어떤 x를 주어로 생각하고 다른 모든 것을 술어로 재고하는 방식입니다. 모든 인간은 동물이다 라는 문장을 술어화한다면 모든 x에 대해서 'x가 인간(C)이면 그 x는 동물(D)이다'가 되고, 기호로는 Cx->Dx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논리학에서 사용되는 명제들의 모호성과 오류를 탈피해 명제를 쉽게 다루도록 수학적 기호로 표시한 것입니다.
그의 철학적 접근은 '논리적 원자론'으로부터 시작하여, 언어와 의미, 진리에 관한 깊은 고찰을 이어나갔습니다. 분석 철학은 언어와 사상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접근법을 의미합니다. 러셀은 이 접근법을 통해 철학적 논의를 논리적으로 해체하고 다시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습니다.
러셀의 수학적 업적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러리-러셀 패러독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패러독스는 "자기 자신을 설명하는 문장이 해당 문장 자체의 참/거짓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는 문제"를 다루며, 수학적 논리와 진리에 대한 복잡한 문제를 제기합니다.
'거짓말쟁이 패러독스'는 많이들 알고 있을 예시입니다. 한 크레타인이 모든 크레타인은 거짓말쟁이라고 말했습니다. 그의 말이 참이라고 가정한다면 그도 크레타인이므로 그의 말은 거짓입니다. 그의 말이 거짓이라고 가정하면 모든 크레타인은 거짓말쟁이가 아니고 그의 말도 참이 됩니다. 그러면 다시 모든 크레타인은 거짓말쟁이라는 명제가 참이 되고, 이런 식으로 계속 돌고 돌게 됩니다.
이런 악순환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러셀은 "한 집합의 모든 원소를 포함하는 것은 무엇이든 그 집합의 원소여서는 안된다"는 원리를 위반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즉 크레타인이라는 집합의 모든 원소에 적용되는 명제를 그 집합의 원소인 크레타인이 말하고 있기 때문에 패러독스가 발생한 것입니다.
그는 수학과 논리학 외에도 역사가, 사회평론가, 사회개혁운동가 등 정치적으로도 활동했습니다. 비트겐슈타인 등 훌륭한 제자들을 양성한 교육가이기도 하죠. 러셀은 학문적 자유, 평화, 인권을 옹호하며 사회 개혁을 주장했습니다. 1차대전 중에는 철저한 반전주의자가 되어 적극적 평화운동을 전개했고 2차대전에서 원자폭탄이 등장한 것에 충격을 받아 아인슈타인과 함께 핵무기 금지를 강하게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1950년에는 노벨 문학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의 정치적 입장은 그의 글쓰기와 활동을 통해 나타났습니다.
러셀은 수많은 저술과 논문을 남겼으며, 그 중에서도 <철학의 제문제(Problems of Philosophy)>와 <역사적 백과사전(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등은 일반 독자들에게도 친근한 형태로 그의 철학적 사상을 전달하였습니다. 러셀은 1970년 2월 2일에 사망하였으나, 그의 철학적 업적과 아이디어는 여전히 현대 철학과 학문 전반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철학읽기] 아우라를 잃어버린 시대, 벤야민 (0) 2023.08.10 [서양철학읽기]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게임 (0) 2023.08.10 [서양철학읽기] 인생의 의미 찾기, 빅터 프랭클 (0) 2023.08.09 [서양철학읽기] 정의란 무엇인가, 존 롤스 (0) 2023.08.08 [서양철학읽기] 세계화, '제국'이란 무엇인가 - 안토니오 네그리, 마이클 하트 (0) 2023.08.07